[인터뷰] 처방 도입 필요성과 효과를 다루는 정책연구원 운영위원장 인터뷰 > 정책연구원

본문 바로가기

사이트 내 전체검색

정책연구원

정책연구원

[인터뷰] 처방 도입 필요성과 효과를 다루는 정책연구원 운영위원장 인터뷰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정책연구원 작성일25-08-11 11:01 조회조회수 61회

본문

 

 

성분명 처방 도입 필요성과 효과를 다루는 정책연구원 운영위원장 인터뷰.. 핵심 요약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 

 

1. 재정 절감 측면

한국 건강보험 보장률은 OECD 최하위(64.9%)이며재정 고갈 시점은 2028년 예상.

2024년 의약품비 27조원(5년간 39% 증가)으로 고령화와 약가 거품이 주요 원인.

제네릭 약가가 선진국 대비 41~54% 비싸며스웨덴·프랑스·일본 등은 성분명 처방과 대체조제로 비용 절감.

한국도 성분명 처방 도입 시 최소 연 5,000억 원 절감 가능 전망.

 

 

2. 리베이트 구조 억제

제네릭 약가가 높아 리베이트만으로도 제약사에 큰 이익 보장 → 신약개발 유인 저하불법 판촉 심화.

단속·처벌만으로는 한계가격경쟁 촉진과 성분명 처방 제도화를 병행해야 구조 개선 가능.

 

 

3. 환자 영향

상품명 처방은 리베이트 유인과다·중복처방보험재정 악화 초래.

성분명 처방은 동일 성분 간 가격 경쟁을 유도해 재정 절감과다처방 방지약가 왜곡 해소 가능.

발사르탄 사태처럼 의약품 안전 문제 시 대체조제 용이.

2016년 조사에서 국민 53.6%가 성분명 처방 선호.

 

 

4. 도입 과제

2000년 의약분업 당시 의사회 반발로 상품명 처방 허용 → 현재 99%가 상품명 처방.

최근 약가·품절·리베이트 문제로 성분명 처방 필요성 재부각대선 공약에도 일부 반영.

해외 사례처럼 국민 선택권·건강권 향상재정 안정성 확보 효과 기대.

정치권·시민사회·전문가 협력으로 조속 도입 필요, 2025년 10월 연구결과 발표 및 국회 토론회 예정.

 

20250812144126_52247.jpg20250812144126_49806.jpg20250812144126_79989.jpg20250812144126_99824.jpg20250812144126_53710.jpg

첨부파일

댓글목록

댓글이없습니다.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모바일_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로고
비공개자료실

강원도 원주시 건강로 32(반곡동) 국민건강보험공단 10층 TEL 033-736-4013~44 FAX 033-749-6383

COPYRIGHT ⓒ 2014 By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. ALL RIGHTS RESERVED.